![]() |
![]() |
계명의대학술지(KMJ)에 제출 된 모든 원고는 아래의 지침을 준수하여야 하며, 아래에 명시되지 않은 경우, ‘Uniform Requirements for Manuscripts Submitted to Biomedical Journals: Writing and Editing for Biomedical Publication (http://www.icmje.org)’을 따라야 한다. 학술지에 게재 된 논문에 대한 저작권은 KMJ 측에 있으며, 저작권의 양도에 모든 저자가 승인해야 한다.
KMJ에 투고하는 원고는 창의적이어야 하며, 질병의 치료와 예방을 포함한 보건의료, 의료서비스 및 의용기술, 의학교육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 원고의 형태는 원저, 증례보고, 종설(최근 이슈, 새로운 정보, 심층검토, 임상실험), 독자의견 등이 포함된다. 투고 중인 원고는 다른 출판물에 게재되지 않은 것이어야 하며, 심사가 끝나는 시점까지 다른 학술지에 중복하여 투고되지 않아야 한다. 심사 과정에 있는 원고에 대하여 저자(들)는 계명의대학술지 편집위원회의 요청에 따라야 한다. 원고에 기술되는 언어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한글 또는 영문으로 혼용 없이 작성하여야 한다. 그러나 모든 원고의 초록은 영문으로 작성하여야 한다. 원고에 기술되는 학술용어는 대한의사협회에서 최근에 발행한 의학용어집 또는 해당 전문분야의 최신 용어를 사용하여야 한다.
1. 저자 자격
저자는 다음의 4가지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즉, 1) 원고를 구성하는 개념과 설계, 자료의 수집, 분석과 해석 과정에서 상당한 기여를 했는지, 2) 원고를 직접 작성하였거나 또는 학문적으로 중요한 내용의 수정에 대해 결정적 역할을 했는지, 3) 원본의 게재에 관한 최종 승인권을 가졌는지, 4) 원고의 모든 측면에 대해 책임을 지고 정확성이나 완전성에 문제가 있을 경우 이를 해결하겠다고 동의했는지 여부에 따라 인정된다. 교신저자는 원고를 최초로 투고한 후 저자 자격에 대한 모든 변경사항(저자의 추가나 삭제, 순서 변경 등)은 반드시 공문으로 편집위원회에 통보하여야 하며, 모든 저자의 서명을 첨부하여야 한다.
2. 중복게재 및 표절
중복 출판물은 원본 출처의 귀속 없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저작물이 2회 이상 발행(발행 또는 출판 시도)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이전에 다른 출판물로 출간된 원고는 본 학술지에 게재할 수 없다. 또한 다른 학술지에서 게재 심사가 진행 중인 원고는 본 학술지에 중복하여 투고할 수 없으며, 다른 학술지의 심사가 종료된 후에 본 학술지에 투고하여야 한다. 원고가 일단 채택된 후에는 편집위원회의 허가 없이 원고의 어떠한 부분도 다른 학술지에 중복하여 게재 할 수 없다. 만약 KMJ에 게재된 원고가 다른 학술지에 중복으로 게재된 것이 밝혀질 경우 해당 원고는 게재를 철회함과 동시에 KMJ는 해당 저자가 중복 게재한 사실을 공개한다. 이러한 사실은 저자가 소속된 기관에 통지하여야 하며, 저자에게는 추가적인 징계를 내릴 수 있다.
원고의 표절에 대한 점검은 심사 전에 Ithenticate (https://app.ithenticate.com/)를 활용하여 시행한다.
3. 이차출판
다른 학술지에 출판된 원고를 KMJ에서 이차로 출판하고자 하는 경우에 본 학술지 편집위원회가 원전을 출판한 학술지 편집위원회의 동의를 획득한 경우에 한하여 이차 출판을 허용하며, 이 경우에는 ‘Uniform Requirements for Manuscripts Submitted to Biomedical Journals (http://www.icmje.org)’의 일반적인 사항에 따른다.
4. 이해관계 명시
교신저자는 잠재적으로 저자의 자료 해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이해상충 또는 갈등을 유발할 수 있는 모든 관계를 편집위원회에 알려야 한다. 예로는 특정 기업에서 받은 금전적 지원이나 그 기업과의 관계, 이익 집단으로부터 받은 정치적 압력, 학문적으로 관련한 문제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연구비 수혜 내용은 표지에 명기하고, 연구와 관련된 투자, 자문료, 주식 등 이해관계가 있는 모든 사항은 본문 말미의 하단에 명시하여야 한다.
5. 인간 및 동물 연구에 대한 규칙 및 규정
인간과 관련이 있는 연구에서는 1964년 채택된 헬싱키선언의 윤리적 기준을 준수해야 하고 ‘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사진을 포함한 설명 자료에는 환자의 이름,의 이니셜, 및 병원 식별번호를 등이 공개 되어서는 안된다.
동물을 대상으로 한 연구일 경우 실험동물의 사육과 사용에 관련된 규정 또는 ‘NIH Guide for the Care and Use of Laboratory Animals’를 준수하여야 한다.
6. 연구 및 게재 부정행위 해결을 위한 절차
중복게재, 표절, 허위 자료, 수치 조작, 저자 변경, 이해상충 미공개, 투고된 원고에 대한 윤리적 문제, 심사위원이에 의한 저자의 아이디어나 자료 차용, 편집위원에 대한 항의 등 연구나 게재의 부정행위로 의심되는 사례가 발견되는 경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절차는 ‘Committee on Publication Ethics (http://publicationethics.org/resources/flowcharts)’가 제공하는 업무절차 단계를 따른다. 의심되는 사례에 대해서는 편집위원회에서 논의 한다.
7. 편집위원회 및 편집위원의 책임
KMJ 편집위원회는 출판윤리를 준수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며, 논문 철회에 관한 지침 준수, 학술 자료의 완전성 유지, 학문이나 윤리적 기준에 위배되는 모든 이해상충방지, 필요한 경우 수정이나 해명, 철회, 사과문 게재 조치, 그리고 모든 표절이나 허위 자료를 제거하고 규탄하는 책임을 다하기 위해 노력한다.
편집위원은 투고된 원고를 채택하거나 거부할 권한을 가지며, 이 때 원고에 대하여 이해상충이 없어야 한다. 편집위원은 원고가 합리적으로 확실한 경우 채택할 수 있으며, 원고에 오류가 발견되면 수정이나 철회를 공시 하며, 심사위원의 익명성을 보장하는 등 사항에 대해 책임을 진다.
1. 투고
모든 원고는 온라인 논문 투고 시스템(http://e-kmj.org/)을 통해 투고되어야 한다. 원고를 투고한다는 것은 해당 원고가 이전에 게재된 적이 없으며 다른 학술지에서 게재를 위한 심사가 진행되고 있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원고가 일단 채택되면 저자는 해당 원고를 편집위원회의 동의 없이 다른 언어로 변환하여 다른 출판물에 게재하지 않을 것에 동의해야 한다.
2. 검증 절차
KMJ 편집위원회는 접수된 모든 원고를 심사함을 원칙으로 한다. 먼저 원고가 양식을 갖추었는지, 본 학술지의 목적과 범위에 부합하는지를 심사하며, 다음 단계로 유사도 검사를 통해 표절이나 중복게재 여부를 확인한다. 이후 편집위원회에 의해 선정된 익명의 심사위원 2명이 원고를 교차검증 한다. 교차검증에서는 저자의 이름과 소속기관을 제거하고 심사하는 더블 블라인드(이중맹검) 방식을 사용한다. 편집위원회는 심사위원들이 보낸 심사결과를 심의하여 원고의 일차 채택 여부를 결정한다. 통상적으로 편집위원회는 원고의 게재 여부를 접수 후 3주 내에 일차적으로 결정하며, 이후 즉시 교신저자에게 원고의 심의 결과와 심사 의견서를 전자메일로 전달해야 한다. 교신저자는 심사 의견서에 따라 수정이 이루어진 모든 부분을 항목별로 표시하여 편집위원회에서 정한 기한 내에 수정된 원고를 다시 제출하여야 한다.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원고가 수정되지 않은 채 다시 제출되거나 또는 수정된 원고가 기한 내에 편집위원회에 도착하지 않으면 저자가 자의로 투고를 철회한 것으로 간주한다. 만약, 수정기간을 연장하고자 할 경우 교신저자는 편집위원회에 연락해야 한다.
편집위원회는 원고의 심의 결과는 ‘원고대로 게재, 수정 후 게재, 수정 후 재심사, 게재 불가’ 중에 한 유형으로 통지한다.
1. 저작권
모든 출판물에 대한 저작권은 KMJ가 소유한다. 교신저자는 원고를 투고할 때 모든 저자가 서명한 ‘저작권이양동의서’를 전자투고시스템을 통해 제출해야 한다.
저작권 양도에는 재출판, 번역, 사진 복제, 마이크로 폼, 전자형식(오프라인, 온라인) 또는 기타 유사한 성격의 복제물을 포함하여 원고를 재생성 및 배포할 수 있는 독점적 권리가 포함된다.
2. 라이선스
KMJ는 적절히 인용되는 전제 하에 모든 매체를 통해 원래 저작물을 비상업적 목적으로 활용하거나 배포, 재생산하는 것을 무제한적으로 허용하는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의 조건에 따라 배포되는 오픈액세스 학술지이다. KMJ에 게재된 모든 표나 그림을 학문적, 교육적 목적으로 다른 학술지, 책, 매체에 사용하는 경우 “Budapest Open Access Initiative (BOAI)”의 오픈 액세스에 대한 정의에 따라 따로 허가를 받지 않아도 된다.
3. 데이터 공유
KMJ는 윤리, 개인정보 보호, 비밀유지와 관련된 문제로 제한되는 경우가 아닌 이상 ICMJE Recommendations for data sharing statement policy에 따른 데이터 공유를 권장한다.
1. 원고 작성
2. 표지
3. 영문초록
4. 본문
5. 참고문헌
참고문헌 기술방법은 다음의 예시에 준한다.
Journal Article:
Book:
Book Section:
Web Page:
7. 표(Tables)
8. 그림 및 사진(Figures)
9. 기타
본 투고규정에 언급되지 않은 사항은 일반적인 관례에 준한다.
![]() |
![]() |